그간 써온 배터리 아끼는 방법을 한 곳에다 정리를 했습니다.
1부: 기본 + 부록(동기화)
2부: 과학적(?) 분석 (CPU & 네트워크 사용량)
3부: 루팅을 통한 시스템 설정
1부: 기본 + 부록
안드로이드 폰 배터리 대기전력 소모 사용량 시간당 1% 도전하기!
안녕하세요.
스마트폰을 사용 하시면서 가장 많이 들 느끼시는 것이 박대리님의 조기 퇴근이십니다.
현재 제 화면 입니다.
위젯: 2종류 3개
현재 백그라운드로 돌아 가고 있는 어플입니다(Skype는 제외). 지메일, 캘린더는 항상 동기화 모드이고 페북, 트윗, 날씨, 이메일등 동기화는 항상 되고 있습니다.
현재 대기 상태(WIfi 모드)에서 배터리 사용량이 시간당 1% 입니다.
저도 사람인지라 꾸미는 것을 좋아 했습니다.
6~8%(예전 대기 전력 시간당 사용량) = 라이브 월페이퍼 + 위젯(4종 5개) + [ widget locker + 위젯3개) ]
1%(현재) = 위젯(2종 3개)
예전에는 대기 전력으로 아무 것도 안 해도 완충 후 16시간 ~ 12시간 이였는데
현재는 100시간입니다.
박대리의 조기 퇴근 근본적 문제
1. 위젯
위젯이라는게 참 만만해 보이고 화면이 꺼져 있음 괜찮겠지 하지만 이놈이 정말 어마어마하게 전력을 잡아 먹습니다.
현재 제 세팅에서 맨위 위젯을 지우고 날씨 위젯다운 받아 설치 하니 시간당 대기 전력 소모가 1% -> 4%로 급등!
이 정도면 감이 오시죠? 위젯 하나 다른 걸로 봐꾸었다고 전력량이 저렇게 늡니다.
※ 또 한 위젯 마다 소모 배터리가 다릅니다. 어떤건 많이 사용 하고 어떤 것은 적게 소모하고. 보통 애니메이션 effect라든지 화려 할 수록 소모가 크지만 역시 개발자의 위젯 최적화에 따라서도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2. widget locker + 위젯 콤보
이 조합도 정말 어마어마 한 전력을 잡아 먹습니다. 혹시 widget locker 쓰시다 기본 안드로이드 라커가 잠깐 보이고 widget locker가 보이는 현상 종종 있지 안 습니까? 아마 생각 하온데 widget locker는 기본 안드로이드 라커를 안 쓰게 세팅 하고 widget locker로 돌리는 것이 아니라 기본 안드로이드 라커 위에 widget locker로 덥어 쒸우는 실행을 하는 것으로 보여 집니다. 결론은 보이는건 widget locker 하나 이지만
실질 적으론 락커 2개가 동시에 실행 되고 있는 겁니다. 거기다 위젯도 뜨어 높으니 엄청 CPU로드를 하겠죠?
3. 테스크 킬러 스마트하게 쓰기
요세 테스크 킬러가 너무 많이 나왔고 누가 좋냐라고 따지기엔 서로 비슷합니다.
그럼 여기서 테스크 킬러를 스마트하게 쓰는 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보통은 몽땅 자주 혹은 화면 꺼질때나 시간 단위 오토로 킬을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 하실 텐데 절!대! 안됩니다.
테스크 킬러도 이래봐도 어플! 실행 될 떄 마다 전력이 소모 됩니다!
-테스크 킬러 설정 하기
좀비 어플(죽여도 살아 나는 어플) 및 자주 실행 어플은 제외(문자, 전화, 카톡, 등등)
좀비 어플을 제외 하는 이유는 죽여도 어차피 살아 납니다. 보통 어플은 백그라운드 상태 때에는 캐쉬에 저장이 되기 때문에 그리 큰 전력을 소모 하지 안 습니다. 하지만 죽이고 다시 살아 날때는 재 실행이 되는 것이기 떄문에 전력을 소모하게 됩니다. 죽이고 살릴고 죽이고 살리고를 반복 누적 되면 전력 소모가 누적 됩니다.
그리고 안드로이드 특성 상 테스크 킬러로 어플을 죽이고 메모리 반환을 하나 안 쓰고 반환 하나 가동에는 별 차이가 없습니다(1G, 512RAM 성능 일때). 그냥 테킬을 하고 확보댄 메모리를 보며 느끼는 자기 만족? 이라고나 할까요. 그냥 자주 할 필요 없이 아침 점심 저녁에 한 번 씩이면 될 듯 하고 한 번 테킬 없이 써보세요. 그리 별 차이 없습니다.
3.1 프로요 2.2 부터는 테킬은 X
프로요 부터는 메모리 관리가 향상 되었기 때문에 테스크 킬러를 안 쓰는 것이 더 효율적입니다.
프로요는 정보를 모아 사용자가 사용하는 어플의 우선순위를 매겨서 자주 사용 하지 않는 어플을 죽여서 메모리를 확보하는 기술을 사용 합니다. 그러므로 테스크 킬러를 사용하여 어플을 죽인다면 OS 자체에서 정보를 모으는데 방해가 되고 오히려 성능의 저하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4. 안 쓰는 어플은 과감히 삭제
어플을 깔아 놓기만 해도 안 써도 전력 소비는 늘어 납니다.
그 이유는 어플이 많을 수록 로딩 할 목록(위젯, 아이콘, 시스템)이 많아지고 그럼 사용 전력이 느는 거지요.
깔아 놓고 안 쓰는 어플, 과감히 지우세요.
5. 최대한 기본 안드로이드 어플 사용
기본 안드로이드 음악, 비디오 어플이 허접하더라도 그래도 구글이 만든 어플입니다. 최적화가 잘 되어 있지요. Poweramp를 쓰다 음악으로 넘어 왔는데 저 같은 경우는 돌비 음향 효과 떄문에 넘어 왔지만 확실이 poweramp가 전력 소비를 더 많이 한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이 정도 입니다. 너무 간단해서 맥이 빠지시나요?
하지만 항상 진리는 가깝고 쉬운데 있습니다.
모든 것에는 대가가 있듯이 화려하고 이쁠 수록 전력 소모는 많아 집니다.
저는 동기화는 죽이지 않지만 죽인다면은 더 많은 배터리가 확보 될 것이나 동기화가 안 되면 그게 스마트폰인가란 생각도 듭니다.
배터리 어플도 그냥 남은 용량 %로 표시하고 별거 아닌거 같지만 이 것도 결국 전력 소모 입니다.
배터리 좀 아껴 보겠다고 배터리 아끼는 어플 설치 해 봐야 아끼는게 아니라 그 어플이 배터리 더 잡아 먹습니다.
배터리: 힘드냐? 나도 힘들다.
CPU:...........
제일 좋은 것은 애초에 필요 없는 어플들을 설치 하지 않음으로 해서 실행을 방지 CPU 로드를 줄여 배터리 소모를 방지 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어플이 다양하여 어플 마다 소모 되는 전략이 제각각입니다. 어떤건 배터리 소모가 많고 어떤건 적고.
모든 것은 다 비교 하는 것 불가능입니다.
하지만 간단하게 여러 분도 주무시기 전 완충하고 주무실 때 코드를 뽑고 일어 나셔서 배터리 소모량과 구동 시간을 비교해 보세요.
PS: 물론 폰을 사용 하 실때 전력 소모를 줄이는 방법은 솔직이 없습니다. LCD가 소모하는 양, 사용하며 어플이 구동 되고 그에 따른 CPU 사용량에 따른 전력 소비 등은 막을 방법이 없지만 최소한 대기 전력 만으로도 하루 평균 배터리를 많이 아낄 수 있습니다.
혹시 배터리가 빨리 다르신다고요? 그럼 과감히 폰을 심플하게 만들어 보세요. ^^
심플한 만큼 배터리 사용량도 심플해 집니다!!
Tip
3G 데이터 사용시 Wifi 보다 배터리가 훨씬 많이 답니다.
대략 2~4배는 더 다는 거 같네요.
Wifi 모드일 떄는 1%지만 3G를 사용하면 3~4%정도(시간당) 다는 거 같습니다.
가급적 WIfi를 사용하세요.
2부: 과학적(?) 분석
TrafficStats lite
위 보시면은 Total Wifi(제가 깔고 데이터 리셋 후 3G를 안 사용해서 그런데 3G를 사용 하시면 Total 3G라도 같이 나옵니다) 및 각 어플의 데이터 사용량을 알 수 가있습니다. 방심하고 있었는데 트윗과 페이스북이 은근이 데이터를 많이 주고 받더 군요.
Tip: 어플 실행 후 Refresh 버튼을 눌러 주셔야 최신 사용량으로 업뎃 합니다!!
Usage Timelines Free
CPU 사용 확인 어플은 테스크 킬러 및 다른 어플들도 많은데 Usage Timelines Free는 매우 간단하게 확인이 되어 좋더군요.
현재 위 어플을 이용하여 어플 및 위젯을 깔았을 때 기존 CPU 사용량 대비 CPU 사용량이 얼마나 늘었는지 확인이 가능 하여
3부: 루팅을 통한 시스템 관리
SetCPU
지금까지 배터리 아끼는 방법은 정상적인 방법(루팅X)으로 배터리를 아끼는 법을 설명해 드렸고 오늘은 루팅으로 통해 cpu전력을 낮추어 배터리를 아끼는 법입니다.
당연 루팅을 해야만 할 수 있는 방법이기에 각 기기의 루팅 법을 다르기 떄문에 찾아 보시기 바랍니다.
옵젯 유저 루팅은 밑의 링크를 참조해주세요.
2011/03/13 - [& 세계의 이야기들/안드로이드 Tip 강좌] - 옵티머스z 옵젯 프로요 슈퍼7클릭 루팅 가이드
맨 처음 어플을 실행 하면 기기의 CPU를 맞추어야 하는 옵션이 밑에 보입니다.
보통은 두 번째 Autodetect Speeds Recommended를 하시면 되짐만 간간 fail이 되거나 재부팅 후 CPU를 못 찾는 경우가 있어서 가급적 Show other frequency sets를 누르 셔서 직접 CPU를 선택해 주세요.
보시면 많은 종류의 CPU옵션 및 스마트폰 기기가 나오고 해당 스마트 폰이나 옆에 CPU가 같은 것을 선택 하시면 됩니다.
저는 Snapdragon을 사용 하기 떄문에 Snapdragon을 선택 하였습니다.
선택 후에 메인으로 넘어 갑니다. 보통 CPU를 기본적으로 MAX/MIN 가 모두 최대치로 설정 되어 있고 스케일링도 역시 performance로 선택되어 있습니다.
이 것을 이제 취향에 맞추어 설정 하시면 되는데 저는
Max: 768
Min: 245
Scaling: conservative
로 선택 하였습니다. 게임을 안 해서 그런지 768 상태로도 1기가와 별다른 속도 차이를 못 느끼겠더군요.
Scaling option: Conservative: 사용량에 따라 CPU 할당 (Ondemand에 비해 세부적으로 CPU 할당이 됩니다. 추천)
Ondemand: 사용량에 따라 CPU 할당 (Conservative에 비해 CPU 높낮이 폭이 큽니다. 200에서 갑자기 700 가지도 하고 1기가로 가기도 하고)
Savepower: 최대 절약 (어지간 해서는 CPU가 최저 상태로 올라가지 안 더군요. 대신 좀 대체적으로 폰이 느려집니다, 대신 배터리 절약은 최대이죠)
Performance: 최대 성능
Set on Boot: 부팅 시 자동 실행
Profile에서는 각 상황에 따라 CPU 속도를 조절 할 수 있습니다.
Add profile하시면은 Charing/Full, screen off, 온도, 배터리 용량에 따라 최대/최소 cpu 클럭을 설정 할 수 있어 배터리 절약에 도움이 됩니다.
Advanced: 오버 클럭 (각 모델 별 다르기 떄문에 검색을 해 보셔야 합니다)
위 Setcpu를 통해 기존 대기 전력 사용량이 1% -> 0.7~8%로 낮아 졌고 기존 배터리 아끼는 팁에서는 폰을 사용 할 때 전력 소모를 아끼지를 못 하였지만 setcpu를 통해 사용 중에도 대략 10~20% 정도의 배터리 소모 향상이 되었습니다.
CPU 클럭이 사용을 안 하더리도 높은 값에 고정이 되어 있음 그 만큼 voltage를 소모하기 때문에 전력 소모가 크지만 setcpu를 통해 cpu클럭을 상황에 따라 낮추고 높이고 하면은 그 만큼 CPU를 안 쓸 떄는 CPU클럭을 낮추어 배터리 소모를 방지 할 수 있습니다.
이것으로 왠만한 방법으로 배터리 소모를 줄이는 것은 할 만큼 한 것 같네요.
배터리 소모 향상(시간당)
1부+2부: 7% -> 1%
3부: 1% -> 0.7~0.8%
실시간 사용 시: 약 20~30% 절약
'세계의 이야기들 > 안드로이드 Tip 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옵티머스z 옵젯 프로요 슈퍼7클릭 루팅 가이드 (150) | 2011.03.13 |
---|---|
안드로이드 wifi 무선 인터넷 항상 켜기 사용하기 (3) | 2011.02.07 |
안드로이드 폰 배터리 대기전력 소모 사용량 시간당 1% 도전하기! (41) | 2011.02.03 |
안드로이드 구글 및 기타 다른 동기화 배터리가 많이 단다? 진실 혹은 거짓! 동기화에 대해 알아 보자! (7) | 2011.02.03 |
스마트폰 해외 유심 usim 사용 및 3g 데이터 사용 하기 해외 스마트폰 국내서 사용 하기 (57) | 2011.02.01 |
댓글